본문바로가기

도봉산과 시

  • 次道峯書院韻(차도봉서원운)
  • 望道峯作(망도봉작)
  • 秋日(추일)
  • 道峯霽雪(도봉 제설)
  • 祝石嶺望道峯(축석령망도봉)
  • 萬丈峰(만장봉)
  • 入道峰(입도봉)
  • 道峯晴雲(도봉청운)
  • 題道峯書院(제도봉서원)
  • 도봉(道峰) 박두진
  • 도봉 (道峯) 이병기

次道峯書院韻(차도봉서원운)

次道峯書院韻(차도봉서원운)

도봉서원 시에 차운함
촌은 유희경[劉希慶, 1545~1636]

石路崎嶇入翠微(석로기구입취미)
風泉吼壑遶巖扉(풍천후학요암비)
層厓雨過葉初嫩(층애우과엽초뢰)
古洞春深花亂飛(고동춘심화란비)
在世豈知今日是(재세일지금일시)
遊山方覺去年非(유산방각거년비)
傷心謁罷先賢廟(상심알파선현조)
獨立蒼茫無所歸(독립창망무소귀)

돌길은 들쭉날쭉 푸른 산으로 이어지고
바람 부는 샘이 골을 울리고 바위틈을 감도네
벼랑에 비 지나가자 나뭇잎은 물이 돌고
옛 골짜기에 봄은 깊어 꽃잎이 나부끼네
살면서 어찌 오늘이 옳을 줄 알겠으며
산 노니니 비로소 지난날 글렀음을 알겠구나
슬픈 마음으로 선현의 묘당을 배알하고 나서
홀로 창망하게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.

※ 임종욱 역
※ 吼:부르짖을 후/嫩:어릴 눈, 색깔이 엷을 눈 뢰

望道峯作(망도봉작)

望道峯作(망도봉작)

도봉산을 바라보며 짓다
서계 박세당: 1629(인조 7)~1703(숙종 29).

奇巧心偏怪化翁(기교심편괴화옹)
幾般摶弄妙難窮(기반단농묘난궁)
萬形掩翳黃塵下(만형엄예황진하)
一骨嵯峨碧落中(일골차아벽락중)
看月不妨人界黑(간월불방인계흑)
散花長得佛天紅(산화장득불천홍)
半崖松老危巢倒(반애송노위소도)
數片雲隨鶴背風(수편운수학배풍)

조화옹의 기교에 마음 몹시 놀라니
수많은 손놀림이 신묘 막측하구나
온갖 형상이 땅 아래에 조밀한데
한 바위 봉우리가 창공을 찌르네
달을 보매 세상의 어둠 아랑곳없고
꽃을 흩날리매 내내 하늘이 붉어라
벼랑 중턱 노송에 걸린 높다란 둥지
몇 조각 구름이 학의 뒤를 따르네

※ (偏:치우칠 편/般: 가지(종류를 세는 단위) 반/摶:뭉칠 단/窮:궁구할 궁/掩: 가릴 엄/翳: 가릴 예/掩翳:가리어 숨김/嵯:우뚝 솟을 차/峨:높을 아/佛:비슷할 불/倒: 넘어질 도)

秋日(추일)

秋日(추일)

가을날에
백사 이항복:1556(명종 11)~1618(광해군 10)

世事乘除異(세사승제이)
人情寵辱驚(인정총욕경)
霜天道峯色(상천도봉색)
突兀滿懷靑(돌올만회청)

세상일은 승제가 서로 다르고
인정은 총욕이 놀라게 하도다
가을 하늘의 도봉산 빛은
우뚝하여 가슴에 가득 푸르구나

道峯霽雪(도봉 제설)

道峯霽雪(도봉 제설)

택당 이식: (李植, 1584~1647)

瑤空逈無閡(옥공형무핵)
玉筍森成列(옥순삼성렬)
一抹曉光紅(일말효광홍)
夜來知有雪(야래지유설)

멀리 막힘 없이 툭 터진 하늘 위로
옥빛 죽순마냥 삼엄하게 늘어선 산
한 가닥 새벽빛에 온통 붉게 물드나니
아, 밤 사이에 눈이 내려오셨나 봐

※ (瑤:옥돌 요/閡:막힐 핵)

祝石嶺望道峯(축석령망도봉)

祝石嶺望道峯(축석령망도봉)

축석령에서 도봉을 바라다보다
청음 김상헌:(金尙憲, 1570년~1652년)

淸曉歸程凍雪晴(청효귀정동설청)
道峰高出玉崢嶸(도봉고출옥쟁영)
二年關塞經心處(이년관새경심처)
今日還疑夢裡行(금일환의몽리행)

맑은 새벽 돌아오매 눈은 얼어 맑거니와
높이 솟은 도봉산은 옥 솟은 듯 아름답네
이 년 동안 변방에서 늘 그리던 곳이기에
꿈속에서 가는 건가 오늘 되레 의심하네

(崢:가파를 쟁/嶸:가파를 영/關塞:변방 요새)

萬丈峰(만장봉)

萬丈峰(만장봉)

정조대왕(1752~1800)

大龍抽正榦(대용추정간)
千里勢蜿蜒(천리세원연)
劍佩趨環闕(검폐추환궐)
珪璋斂拱天(규장렴공천)
基宏於萬世(기굉어만세)
功博屢豐年(공박루풍년)
過路聞絃誦(과로문현송)
剩敎一壑專(잉교일학전)

큰 용이 곧은 줄기 뽑으니
그 형세 천리에 뻗쳐 있네
칼 차고 달려와 대궐을 에워싼 듯
홀 잡고 의연히 하늘을 향한 듯
만대의 굉장한 기업 이룩하고
해마다 풍년드니 그 공적 드넓네
지나는 길 글 읽는 소리 들리니
이 골짜기 유독 아름다워 보이네

※정조 16년(1792) 9월 10일 광릉으로 가던 중 누원에서 짓다.
(榦:줄기 간/蜿:굼틀거릴 원/蜒:구불구불할 연/佩:찰 폐/趨:뒤쫒을 추/環:고리 환, 두를 환/珪:홀 규/璋:홀 장/斂:거둘 렴/拱:마주 잡을 공/屢:자주, 언제나 루/剩:더욱 잉)

卿亦知此中山川之美乎? 璧立東北者, 是萬丈峰也。秀麗淸淑之氣, 扶輿磅礴之勢, 翔翥奔騰, 甚可觀也。曾聞堪輿者, 遇風水佳處, 輒喜而欲舞, 良非過語也。(경역지차중산천지미호? 벽립동북자, 시만장봉야. 수려청숙지기, 부여방박지세, 상저분등, 심가관야. 증문감여자, 우풍수가처, 첩희이욕무, 양비과어야.)

경 또한 이곳 산천의 아름다움을 아는가. 동북쪽에 절벽이 서있는 곳이 만장봉(萬丈峰)인데 수려하고 깨끗한 기상과 천지가 개벽하기 전의 형세가 나는 듯 뛰는 듯 하니 매우 볼 만하다. 일찍이 풍수가(風水家)의 말을 들어보니 풍수가 아름다운 곳을 만나면 매양 기뻐서 춤을 추고 싶다고 하였는데 참으로 지나친 말이 아니다. (磅:돌 떨어지는 소리 방/礴:뒤섞일 박, 널리 덮을 박/翔:날 상/翥:날라오를 저/騰:오를 등/堪輿:하늘과 땅>견딜 감, 하늘 감/수레 여, 땅 여<, 堪輿者: 풍수가/輒:언제나 첩) 정조 16년(1792) 9월 10일 광릉으로 가던 중 미아리에서.

入道峰(입도봉)

入道峰(입도봉)

도봉산에 들어가며
김창협 [金昌協]1651(효종 2)~1708(숙종 34)

靑峯萬丈出(청봉만장출)
遠識靜菴祠(원식정암사)
蕭瑟初冬候(숙비초동후)
蒼茫數子期(창망수자기)
寒流渡馬淺(한류도마천)
老菊向人垂(노국향인수)
倚杖雩壇久(의장우단구)
春游憶在茲(춘유억재자)

푸른 산 만 길 높이 솟아 있는 곳
그 아래 정암 사우 자리 잡았지
초겨울 날씨라서 쌀쌀도 한데
몇 사람 그곳에서 모이자 했네
차가운 물 말 몰아 건너가는데
시든 국화 날 향해 고개 떨구네
막대 짚고 기우제단 서성이자니
이곳에서 즐겼던 지난 봄 추억

※ (蕭:쓸쓸할 소/瑟:쓸쓸할 슬/候:기후 후/茲:이곳 자)

道峯晴雲(도봉청운)

道峯晴雲(도봉청운)

도봉산의 맑은 날 구름
용재 이행:(李荇) 1478(성종 9)∼1534(중종 29)

雲從虛處生(운종처처생)
峯向空中橫(봉향공중횡)
邂逅作媚娬(해후작미무)
朝日弄新晴(조일농신청)
宴坐自娛翫(연dddd좌자오완)
主人亦忘情(주인역망정)

구름은 빈 곳에서 일어나고
봉우리는 공중에 비끼었나니
이 둘이 만나 고운 자태 짓고
아침 해는 맑게 갠 하늘 비춘다
고요히 앉아 이 광경 구경하는
주인 또한 속세의 정을 잊노라

※ (娬:아리따울 무/娛:즐길 오/翫:희롱할 완)

題道峯書院(제도봉서원)

題道峯書院(제도봉서원)

도봉서원에 쓰다
우암 송시열(宋時烈, 1607~1689)

蒼崖削立洞門開(창애삭립동문개)
澗水潺湲幾曲廻(산수잔원기곡회)
堯舜君民當世志(요순군민당세지)
廟前空有後人來(묘전공유후인래)

푸른 절벽 깎아 세운 듯 동구 열렸으니
도랑물 잔잔히 몇 굽이 돌아왔나
요순 군민 만들려는 당시의 뜻을
부질없이 후인들 사당 앞에 와서 기리네

※ (削:깍을 삭/潺:졸졸 흐를 잔/湲:물 흐를 원)

도봉(道峰)

도봉(道峰)

박두진(1916 ~ 1998)

산새도 날아와 우짖지 않고,
구름도 떠나곤 오지 않는다.

인적 끊인 곳 홀로 앉은
가을산의 어스름

호오이 호오이 소리 높여
나는 누구도 없이 불러보나.

울림은 헛되이
빈 골을 되돌아 올 뿐

산 그늘 길게 늘이며
붉게 해는 넘어가고

황혼과 함께
이어 별과 밤은 오리니.

삶은 오직 갈수록 쓸쓸하고
사랑은 한갓 괴로움일 뿐.

그대 위하여 나는, 이제도
이 긴 밤과 슬픔을 갖거니와

이 밤을 그대는 나도 모르는
어느 마을에서 쉬느뇨.

도봉 (道峯)

도봉 (道峯)

가람 이병기(1891~1968)

비로 젖은 옷을 바람에 말리도다
한고개 넘어 드니 숲속에 절이 있고
그 앞에 바위 엉서리 물은 불어 흐른다

돌고 도는 빙에 덩불과 바위서리
푸른닢 욱어지고 하고 붉은 꽃도 피어
옮기는 발자욱마다 향기 절로 일어라

또 한골 찾아드니 어욱이 안옥하다
조고만 들건너 에두른 뫼와 뫼히
나붓이 그 등을 숙이고 강이 또한 보인다

만장봉(萬丈峰) 만장바위 천축(天竺)의 여러 폭포(瀑布)
이 돌 이 물이야 또 어대 없으리오
내 마음 이곳에 드니 내 못잊어 하노라.